상단영역

본문영역

  • 기자명 월간금융계
  • 기획
  • 입력 2014.10.14 15:42

‘제 1회 통일금융 콘퍼런스’ 성공적으로 마무리

10월 2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1회 통일금융 콘퍼런스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통일금융 콘퍼런스’는 '통일을 위한 금융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학술대회와 기획기사, 방송 다큐멘터리, 국제 콘퍼런스가 결합된 통일금융 시리즈이다. 연합인포맥스와 국제지역학회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김용범 금융위 국장과 김영찬 한국은행 국장, 유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김중호 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 하현철 정책금융공사 연구실장, 한상완 현대경제연구원 전무,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수석 연구위원 등 국내 재계, 학계 인사와 디르크 힐베르트 독일 드레스덴시 수석 부시장과 울리히 블룸 전 할레경제연구소장 등 독일의 최고 전문가들이 강연자로 참석하여 북한 개발을 위한 정책금융 역할에 대해 다양한 목소리로 토론을 이어갔다.
 
경제 영토를 확대하는 통일금융을 주제로 열린 이번 국제 콘퍼런스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혜안을 빌려 통일한국이 나아갈 길을 제시했다.
 
본 행사의 기조연설은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맡았다. 신 위원장은 "한반도 통일은 우리 경제의 저성장 및 고령화 현상을 해소하고, 빈곤의 덫에 갇힌 북한 경제를 발전의 길로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말하며, “남북통일이 되면 북한과의 단일화폐제도를 점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북한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20년 후 1만달러까지 끌어올리려면 5천억달러의 재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용범 국장은 "일반적으로 상이한 경제체제 간 통일은 발전과 이행, 통합 단계로 진행되며, 통일 재원을 ▲공적개발원조(ODA) ▲북한 자체 창출 ▲민간 투자 ▲정책금융기관 활용 등 네 가지 방식으로 조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통일될 때 경제에서 가장 어려운 분야로는 화폐통합을 꼽았다.
 
김중호 수출입은행 선임연구원은 콘퍼런스 토론자로 참석하여 "북한 경제를 살리고 통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정책금융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하며, 한반도 통일시 일관된 금융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확실한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과거 독일의 '통화, 경제, 사회 통합에 관한 통일 조약' 사례를 들며 변화양상을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동독지역엔 1990년만 해도 금융기관이 4천500여개에 그쳤지만 1999년 8천600여개까지 폭발적으로 늘었다. 옛 동독 국책은행을 상업화하고, 외국 투자은행을 본격 유치하는 등 금융개혁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던 덕분“ 이라고 말했다.
 
울리히 블룸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수는통일에 앞서 한국의 법령을 통일에 맞게 정비해야 원만한 통일을 이룰 수 있다고 조언했다. 블룸 교수는 "한국 대비 북한의 1인당 소득비중은 5% 수준으로, 당시 서독 대비 동독 비중(20%)에 비해 매우 낮은 상황이다"며, "비용은 독일통일 당시보다 많이 들겠지만 그만큼 발전 가능성도 크다"고 평가했다.
 
‘통일금융 콘퍼런스’는 금융위원회가 후원하며 세션 1은 독일 통일, 동독 지역 재건과 금융의  역할로, 세션 2는 남북한 통일과 금융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열정, 노력, 꿈 그리고 청년투데이
저작권자 © 청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